대동맥박리 경피적 수술(F084) 치료 방법과 시술 과정
작성자 정보
- HUB 작성
- 전국 전체 지역
컨텐츠 정보
본문
대동맥박리 경피적 수술 (F084)
대동맥박리(Aortic Dissection)는 대동맥의 내막이 찢어지면서 혈류가 대동맥 벽 내부로 침투하여 대동맥 층이 분리되는 응급 질환입니다. 대동맥박리는 혈관의 구조적 약화, 고혈압, 동맥경화, 유전적 질환(마르판 증후군, 엘러스-단로스 증후군 등)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 질환은 빠르게 진행되며,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대동맥 파열로 이어질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대동맥박리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
- Stanford A형: 박리가 대동맥의 근위부(상행 대동맥)에서 발생하는 경우
- Stanford B형: 박리가 하행 대동맥에서 발생하는 경우
A형은 응급 개복 수술이 필요할 가능성이 크고, B형은 경피적 수술을 포함한 비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.
경피적 수술 방법
대동맥박리의 경피적 치료(TEVAR,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)는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, 개복 수술 없이 스텐트 그라프트(Stent Graft)를 삽입하여 손상된 대동맥 부위를 보강하는 방식입니다.
수술 과정
-
수술 준비
- 수술 전 CT 혈관조영 검사 및 초음파를 통해 대동맥 박리의 범위를 정확히 파악합니다.
-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한 후, 전신 또는 국소 마취를 시행합니다.
-
혈관 접근
- 대퇴동맥을 통해 가느다란 도관(카테터)을 삽입합니다.
- 카테터를 따라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여 박리된 대동맥 부위까지 유도합니다.
-
스텐트 그라프트 삽입
- 스텐트 그라프트(금속으로 제작된 지지 구조물과 특수 합성재료로 된 덮개)를 박리된 부위에 위치시킵니다.
- 스텐트를 확장하여 찢어진 대동맥 내막을 덮고, 혈류가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유도합니다.
-
수술 후 관리
- 시술 후 혈압 조절이 필수적이며, 출혈이나 스텐트 이동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.
- 환자는 일반적으로 3~5일 정도 병원에 머물며 경과를 지켜본 후 퇴원하게 됩니다.
경피적 수술의 장점과 단점
장점
✅ 비침습적 치료 – 개복 수술보다 회복 기간이 짧고, 합병증 위험이 낮음
✅ 출혈 감소 – 절개 없이 시행되므로 출혈 위험이 낮음
✅ 빠른 회복 – 일반적으로 수술 후 며칠 내에 퇴원이 가능
단점 및 위험 요소
⚠ 스텐트 이동 가능성 – 시술 후 정기적인 모니터링 필요
⚠ 감염 위험 – 시술 후 감염 가능성이 있음
⚠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 – 조영제를 사용하므로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주의해야 함
위의 내용은 일반적인 참고 자료로 제공된 것이며, 개별적인 상황에 맞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