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복에 의한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설명 (장절제 미동반, 복잡 주진단이 아닌 경우)
작성자 정보
- HUB 작성
- 전국 전체 지역
컨텐츠 정보
본문
개복에 의한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(장절제 미동반, 복잡 주진단이 아닌 경우), 한쪽 (G252)
1. 서혜 및 대퇴부 탈장이란?
서혜부(사타구니)와 대퇴부(허벅지 위쪽)에서 발생하는 탈장은 복벽(배의 근육층)에 약해진 틈이 생겨 복강 내 장기나 지방 조직이 빠져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.
- 서혜부 탈장(Inguinal Hernia): 복벽의 서혜관(사타구니 쪽 통로)을 통해 장기나 지방이 밀려 나오는 탈장입니다. 남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.
- 대퇴부 탈장(Femoral Hernia): 대퇴혈관이 지나가는 통로인 대퇴륜을 통해 장기나 지방이 빠져나오는 탈장입니다.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.
2. 개복 수술이란?
개복 수술(Open Surgery)은 복부를 절개하여 탈장 부위를 직접 교정하는 방법입니다. 이 수술은 복강경 수술(Laparoscopic Surgery)과 달리 피부를 절개하여 시행되며, 복잡한 탈장이나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 주로 선택됩니다.
3. 장절제 미동반, 복잡 주진단이 아닌 경우란?
- 장절제 미동반(No Bowel Resection): 탈장으로 인해 장이 심하게 손상되지 않아 장의 일부를 절제할 필요가 없는 경우를 의미합니다.
- 복잡 주진단이 아닌 경우: 탈장이 심각한 합병증(예: 감돈 탈장, 장 괴사 등)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.
4. 개복에 의한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과정
① 수술 전 준비
- 혈액 검사, 심전도, 영상 검사(초음파, CT) 등을 통해 탈장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합니다.
-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전신 마취 또는 국소 마취를 결정합니다.
- 수술 전 6~8시간 금식을 해야 합니다.
② 수술 단계
-
절개 및 노출
- 탈장이 발생한 부위를 절개하고 복벽을 노출합니다.
-
탈장 내용물 복원
- 밀려 나온 장기나 지방을 원래 위치로 되돌려 놓습니다.
-
탈장 구멍 봉합 및 보강
- 탈장이 발생한 부위의 복벽을 봉합합니다.
- 인공막(메쉬, Mesh) 삽입: 탈장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한 인공 막을 덮어 복벽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-
봉합 및 마무리
- 절개 부위를 봉합하고 드레싱을 실시한 후 수술을 마칩니다.
③ 수술 후 회복
- 수술 후 수 시간 동안 회복실에서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.
- 일반적으로 수술 후 1~2일 입원하며, 복잡한 경우 입원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.
-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를 처방받으며, 심한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.
- 보통 1
2주 안에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,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은 최소 46주 동안 피해야 합니다.
5. 개복 수술의 장단점
✅ 장점
- 복강경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수술이 가능
- 복잡한 탈장이나 응급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
⚠ 단점
- 절개 부위가 커서 회복 기간이 비교적 길고 통증이 더 심할 수 있음
- 흉터가 남을 가능성이 있음
위의 내용은 일반적인 참고 자료로 제공된 것이며, 개별적인 상황에 맞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